정보기술 코로나19로 인한 테크 산업 영향 점검
페이지 정보
작성자 ETF Trender 댓글 0건 작성일 20-03-04 10:57본문
1. 세트 생산 차질 가속화
PC, 스마트폰과 같은 완성품의 생산 차질 가시화. 이에 따라 SA는 올해 스마트폰 판매량 전망치를 9.5%나 하향 조정. 화웨이 판매량은 1월에만 전년동기 대비 39% 감소했고, 애플 역시 1분기 가이던스를 하회할 것이라고 공식 발표. 그나마 생산기지를 베트남에 두고 있어 상대적으로 영향이 덜한 삼성전자조차 1분기에 10%가량 생산 차질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 하반기 수요 회복을 기대해 보지만, 애플 외의 기업들은 손해 본 물량을 쉽게 회복하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
2. 디스플레이 하반기 회복 기대
LCD 패널 가격은 급반등하기 시작했지만 생산량이 가격 상승분의 2배 이상 차질을 빚고 있어 기대하기는 이름. 디스플레이 기업들의 1분기 실적 악화는 불가피할 것으로 판단됨. 하지만 업황 여건의 불확실성으로 중국 업체들의 캐파 증설은 지연될 가능성 높아짐. 따라서, 패널 가격 상승세는 단발성에 그치지 않고, 상반기 내내 이어질 수 있으며 하반기 실적은 급반적 펼쳐질 수 있다 판단.
3. 반도체, 모바일 수요 감소는 강한 서버 수요로 커버
반도체에서는 생산 차질 이슈 없으나 스마트폰 생산 차질로 인해 모바일용 디램과 낸드 재고가 쌓일 것으로 예상. 서버 디램은 강한 수요 지속됨. 작년 투자몫인 데이터센터 채우기 위한 서버 투자 이어지고 있으며 코로나19 영향으로 해당 투자가 가속화 되고 있음. 이에 2분기 서버용 디램 가격 20% 이상 상승할 것으로 판단됨. 해당 규모는 모바일 디램 약세를 충분히 커버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 따라서 반도체는 긍정적.
첨부파일
- 한화투자증권_산업_코로나19로인한테크산업영향점검.pdf (840.6K)
- 한화투자증권_산업_코로나19로인한테크산업영향점검.pdf (840.6K)
작성자 소개
-
-
ETF트렌드etfadmin@etftrend.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