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금융 [Kiwoom 글로벌 리서치] 중국 및 신흥국 어떻게 투자할까?
페이지 정보
작성자 ETF Trender 댓글 0건 작성일 20-01-21 12:21본문
1. 중국증시 추세적 상승을 위한 전제조건: 미-중 무역분쟁 완화, 중국 경제 연착륙, 경기 부양책 장기적으로 미-중 무역분쟁 불확실성이 완벽하게 해소되기 어려우나, 1차 무역합의 영향으로 상반기 관련 불확실성 완화 전망 중국 경제 연착륙 기조는 여전할 듯, 다만 소비자물가 상승압력, 고용 불안 및 제조업 디플레이션 우려는 리스크 요인 상반기, 당초 예상보다 유동성 완화 정책(통화, 재정정책) 기조가 더욱 강해질 듯. 특히 통화정책 효율성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전망
2. 새로운 변수: 위안화 강세 시나리오와 나비효과 1차 무역합의 합의 이후 관건은 중국의 대미수입 확대 가능 여부. 중국은 위안화 강세를 통해 대미수입 금액을 늘릴 것으로 전망 하반기 위안화 강세 요인이 약화될 수 있음. 그러나 중국 당국은 인위적으로 위안화 가치 절하 압력을 방어할 것으로 전망 연간으로 내수중심의 투자전략 유지. 그러나 상반기 미-중 무역분쟁 완화, 위안화 강세 영향으로 Tech업종 투자매력 회복 예상
3. 중국과 신흥국, ETF로 투자한다면 2020년 중국 및 신흥국 증시 호조가 예상됨에 따라 관련 지수 및 섹터 ETF 역시 높은 관심을 받을 것으로 전망 다만, 중국 본토 ETF 시장은 아직 활성화되지 않아 투자자 입장에서는 미국 및 홍콩, 국내 상장된 ETF를 이용할 수 있음 이에 앞서 중국 투자 ETF가 추종하는 다양한 벤치마크 지수 특성을 이해한다면 국면 별 적합한 전략수립 가능 기타 신흥국의 경우 국가별 투자 매력에 따라 신흥국 전체 혹은 지수 ETF로 접근
첨부파일
- 키움증권_중국및신흥국어떻게투자할까.pdf (1.5M)
- 키움증권_중국및신흥국어떻게투자할까.pdf (1.5M)
작성자 소개
-
-
ETF트렌드etfadmin@etftrend.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